티스토리챌린지 11

오버헤드 프레스는 이렇게 하자!

오버헤드 프레스는 이렇게 하자!그 동안 소홀히 했던 어깨 운동! 인클라인 체스트 프레스를 하거나 풀업을 하는 과정에서 협응근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따로 운동 루틴에 넣지는 않았었다. 하지만 중량을 점차 올려가면서 느끼는 것이 어느 한 부위의 운동을 할 때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주변 근육의 발전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면서 어깨운동을 루틴에 넣고 공부를 시작했다.   어깨운동을 하다보면 왼쪽 어깨에서 소리가 나고는 했는데 이는 자세가 잘못되어 발생했다. 또한 어깨 운동을 해야한다고 하면서 어떤 자세로 해야 하는지를 모르고 하고 있었다.특히 요즈음 느끼는 것이 팔의 움직임이 내회전을 정확하게 하고 해야하는데 외회전이 걸리면서 팔꿈치에 무리가 갔다고 느끼고 있다. 내가 오버헤드프레스를 할 때 문제..

운동일지를 정성스럽게 작성하자!

운동일지를 정성스럽게 작성하자!최근 운동일지를 그냥 지나가는 듯이 작성을 하는 것같아 반성을 한다. 운동일지를 작성하는 이유는 매일 운동을 했다는 기록을 남기는 것 이외에도 운동을 하면서 느낀 점과 고쳐야할 점 등등 점검을 하기 위해서 작성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냥 운동을 했다는 기록만을 남기는 것은 무의미하다!나중에 내가 어떻게 운동을 했고, 어떻게 고민을 했으며 어떻게 해결했는지 등의 기록을 남겨서 더 발전하기 위해서임을 명심해야 한다.20241122 식단 및 운동체 중 : 74kg식    단아침공기밥 1/2 + 고등어점심치즈까스 저녁공기밥 1/2 + 닭볶음탕 + 블루베리 + 견과류 + 요거트 + 닭가슴살 1식단 체크 사항 : 오늘 점심을 외부에서 먹음! 치즈까스로다가! 오늘 운동 부위 : 하체 ..

심폐지구력이 이렇게 떨어졌다니!

심폐지구력이 이렇게 떨어졌다니!2분할로 운동을 바꾸면서 오늘은 유산소를 했는데 유산소 능력이 이렇게 떨어지다니!6km와 9km 를 1분 또는 2분으로 인터벌로 했는데 지치거나 힘들지는 않았지만 뛰는데 뭔가 어색하고, 지루하다는 느낌이 계속 들었다. 심지어는 20분이 넘어갔을 때는 호흡이 가빠지는 것을 느꼈다. 이렇게 심폐지구력이 떨어졌다니!무산소만 하는 것이 능사는 아닌것 같다. 유산소와 병행을 하면서 전체적인 몸의 발란스를 유지해가며 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이렇게 하면 좋다. 저렇게 하면 안된다. 몸을 키울때 유산소 운동을 하면 근손실이 일어난다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중요한 것은 이런 것들이 몸을 만드는 과정에서 꼭 중요한 사실이 아니다라는 것을 깨달았다. 하루 ..

운동변화를 위한 2분할 루틴

운동변화를 위한 2분할 루틴그 동안 3분할 + 2분할로 운동을 해왔는데 운동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 2분할 루틴을 계획했다. 목적은 운동강도의 변화와 함께 적응이 되어 유지를 위한 운동을 하고 있는 것 같아서이다. 기본 원칙은 3 + 1 + ABS! 메인 운동 3가지, 서브운동 1가지 마지막으로 복근운동으로!요일운동부위메인 3서브 1ABS월상체렛풀다운/케이블시티드로우/체스트프레스머신숄더프레스+사레레크런치 트위스트레그레이즈화하체바벨스쿼트/프론트스쿼트/스미스런지딥스크런치트위스트레그레이즈수풀업 + 푸쉬업 + 유산소목상체인클라인체스트프레스/체스트프레스/바벨로우숄더프레스 + 사레레크런치트위스트레그레이즈금하체데드리프트 / 스티프 / 스모딥스크런치트위스트레그레이즈토풀업 + 푸쉬업 + 유산소일휴   식 이런식으로 운동을..

프론트 스쿼트 그립 및 주의사항

프론트 스쿼트 그립 및 주의사항오늘 운동을 하면서 프론트 바벨 스쿼트 퍼포먼스가 매우 실망스러워서 프론트 스쿼트 그립과 주의사항에 대해 복기를 해보았다.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는 피트니스 모델인 스테파니 산조 누님의 프론트 스쿼트를 하는 영상으로 자세를 점검! 프론트 스쿼트를 할 때 손의 위치는 어깨보다 약간 넓게 잡은 상태에서 팔꿈치가 몸과 수직이 되도록 최대한 올려야 한다. 유연성이 부족한 경우 바를 잡을 때 팔꿈치가 올라오지 못하고 내려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무리해서 자세를 유지하려고 하지 말고 스트랩이나 크로스 그립으로 변형하여하는 것이 좋다.  바의 위치는 어깨 전면 삼각근 위쪽에 놓은 상태에서 바는 턱 밑을 지나가게 위치해야 한다. 이는 매우 중요한데 만약 바의 위치가 고정되지 ..

등운동하는 날 골프엘보가 괴롭힌다.

등운동하는 날 골프엘보가 괴롭힌다. 골프엘보가 나날이 심해져서 걱정이다. 등운동을 하는데 최대한 등 근육에 힘이 실리게 하려고 하지만 아무래도 잡아당기는 동작이다 보니 팔에 자연스레 힘이 들어가게 된다. 턱걸이는 엄두도 못내고 이제는 렛풀다운을 중량을 낮추어서 해도 팔꿈치 통증이 느껴진다. 아무래도 운동 패턴에 변화를 주어야 할 듯 하다. 서킷트레이닝 위주로 전신 복합 관절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방향을 당분간 돌려야 할듯!3분할로 하는 지금의 패턴으로는 팔꿈치가 좋아질 수 없는 것 같아 보인다. 골프엘보가 등운동을 하는 날 나를 괴롭힌다.20241118 식단 및 운동체 중 : 73.4kg식    단아침공기밥 1/2 + 고등어점심공기밥 1/2 + 등심 + 보충제 1 + 닭가슴살 1 + 견과류 1 + 사..

발의 위치에 따라 자극이 다른 레그프레스

발의 위치에 따라 자극이 다른 레그프레스이전 글)케이블 크런치로 복근자극을 케이블 크런치로 복근 자극을케이블 크런치로 복근 자극을 복근운동 중에 케이블 크런치를 하게 되면 늘 자극이 배보다는 팔에 힘이 더 실리는 것 같아 고민이 많았다. 아직 근육이 활성화되지 않아서 인지 자극점을 찾nobrakerider.tistory.com 하체 운동중 고중량으로 할 수 있는 레그 프레스  발판에 놓는 발의 위치에 따라 자극하는 바위가 다르다. 위 그림을 보면 -> 발위 위치가 높을 때는 엉덩이 근육-> 발의 위치가 낮을 때는 허벅지 근육-> 발의 위치를 넓게 했을 때는 안쪽 허벅지 근육-> 발의 위치를 좁게 했을 때는 바깥쪽 허벅지 근육이렇게 좀 더 자극이 들어간다.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그 부분이 좀 더 자극이..

케이블 크런치로 복근 자극을

케이블 크런치로 복근 자극을 복근운동 중에 케이블 크런치를 하게 되면 늘 자극이 배보다는 팔에 힘이 더 실리는 것 같아 고민이 많았다. 아직 근육이 활성화되지 않아서 인지 자극점을 찾기 매우 어렵다. 그래서 복근 단련을 위한 주운동으로  AB슬라이드를 했었는데 팔꿈치 통증으로 이도 하지 못하는 상태!다시 한번 케이블 크런치를 점검하고 공부해야겠다. 케이블 크런치 기본 자세이 영상을 보면서 느낀 점은 케이블 크런치를 할 때 내가 충분히 배를 늘려주지 않은 것 같다. 케이블 크런치 운동을 할 때 자세를 다시 한번 점검이 필요하다. 비교를 위해서 다른 사람의 케이블 크런치를 찾아보았는데 마찬가지로 내가 충분한 수축과 이완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케이블 크런치를 대부분 케이블 머신을 바라보며 하는데..

하체는 풀스쿼트로!

하체는 풀스쿼트로!20241112식단 및 운동체 중 : 73.00kg식    단아침공기밥  1/2 + 스크럼블점심공기밥 1/2 + 등심 + 보충제 1 + 닭가슴살 1 + 사과 1.5 + 견과류저녁토스트 1 + 보충제 1 +닭가슴살 1식단 체크 사항 : 점심에 먹는 공기밥을 1/2로 줄였음. 체지방을 빼기 위해 탄수화물 양을 줄일 예정오늘 운동 부위 : 하체 + 복근러닝  5m5m항 목무게개수세트수부하량바벨스쿼트20Kg20ea1set40040Kg10ea1set40060Kg10ea2set1,20070Kg5ea2set70075Kg3ea1set22540Kg10ea1set400총 부하량3,325프론트바벨스쿼트40Kg10ea3set1,20040Kg5ea2set400   0   0   0   0총 부하량1,600숄더..

풀업 그립 종류 및 자극 부위

풀업 그립 종류 및 자극 부위풀업 한 개도 못하다가 열개까지 가능한 순간! 팔꿈치 통증이 와서 한 2달 동안은 풀업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제대로 된 풀업을 10개를 한다면 좀 더 강도높은 운동으로 넘어가려 했는데... 그래서 다시 한번 풀업에 대해 체크해보려고 한다. 일단 팔꿈치 통증이 오게 된 원인은 등 근육을 제대로 쓰지 못한 것이 원인인 것 같다. 풀업을 했던 것을 복기해 보면 등으로 쭉 밀어 올린다는 느낌보다는 팔로 잡아당기는 듯한 느낌이 더 컸던 것 같다. 주동근이 등근육이 되어하고, 보조근으로 팔근육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반대로 주동근이 팔근육, 보조근이 등근육을 사용하다보니 보상작용에 의해 팔꿈치 쪽으로 무리가 온 것 같다. 오늘 어시스트 풀업으로 주동근인 등 근육에 집중을 하며 시도해보았..